교육/회계

[스크랩] 본지점거래의 회계

영도뜨네기 2009. 3. 25. 09:17

【 제 4 장 】

본지점거래의 회계

제13절 본지점거래의 회계

기업이 영업을 확장하고자 지점을 개설하거나 공장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때의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의 방법이 있다.

① 지점 또는 공장에서는 일정한 보조기록만 하고 모든 거래를 본점에 보고하여 본점에서 회계처리하는 방법

② 지점 또는 공장에서 총계정원장을 설치하고 모든 거래를 독립적으로 회계하는 방법

①의 방법에서는 지점회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지점간의 회계상 특별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②의 방법에서는 지점에서 독립된 장부를 비치하고 발생한 거래를 기록하므로 독립된 회계단위로서 지점 독자의 기말결산과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따라서 이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본점과 지점간의 거래와 지점과 지점간의 거래를 어떻게 회계하는가.

둘째, 본점과 지점의 재무제표를 어떻게 합병하는가.

이 절에서는 지점에서 독립회계제도를 실시할 때 발생하는 이 같은 문제를 회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본지점거래의 회계

(1) 본점과 지점간 거래의 회계

지점을 개설하려면 본점은 개설에 필요한 자금 등을 지점에 공급하는 것은 물론 개설후에도 본점과 지점은 상품과 자금 등을 계속 거래한다. 이 때의 거래는 기업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외부와의 거래와 구별하여 내부대차라 한다. 그리고 내부대차거래에 대하서는 본점은 지점계정을 설정하고 지점은 본점계정을 설정하여 회계한다. 이 때 지점이 둘 이상 있으면 본점에서는 각각의 지점명을 붙인 지점계정을 설정하여 회계한다. 지점의 수가 많을 때는 지점계정을 통제계정으로 하고 보조부에서 지점별 계좌를 설치하여 처리한다.

[주]:

공장을 설치하고 공장에서 총계정원장을 설치하여 모든 거래를 독자적으로 회계할 때도 같다.

~ 거래의 예시 ~

①지점을 개설하고 운영자금으로 현금 ₩36,000을 송금하다.

<본점의 분개>

(차)

지 점

36,000

(대)

현 금

36,000

<지점의 분개>

(차)

현 금

36,000

(대)

본 점

36,000

②본점에서 지점에 상품 ₩10,000을 발송하여 지점에서 인수하다.

<본점의 분개>

(차)

지 점

10,000

(대)

매 입

10,000

<지점의 분개>

(차)

매 입

10,000

(대)

본 점

10,000

③ 본점에서 지점의 외상매입금 ₩800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이를 통지하다.

<본점의 분개>

(차)

지 점

800

(대)

현 금

800

<지점의 분개>

(차)

외상매입금

800

(대)

본 점

800

④ 지점에서 현금 \2,000을 본점의 예금으로 입금시키고 이를 통지하다.

<본점의 분개>

(차)

예 금

2,000

(대)

지 점

2,000

<지점의 분개>

(차)

본 점

2,000

(대)

현 금

2,000

⑤ 지점에서 본점의 외상매출금 \1,200을 현금으로 회수하고 이를 통지하다

<본점의 분개>

(차)

지 점

1,200

(대)

외상매출금

1,200

<지점의 분개>

(차)

현 금

1,200

(대)

본 점

1,200

⑥ 본점에서 지점부담의 보험료 \400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이를 통지하다.

<본점의 분개>

(차)

지 점

400

(대)

현 금

400

<지점의 분개>

(차)

보험료

400

(대)

본 점

400

⑦ 본점에서 지점부담의 광고료 \600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이를 통지하다

<본점의 분개>

(차)

지 점

600

(대)

현 금

600

<지점의 분개>

(차)

광고선전비

600

(대)

본 점

600

⑧ 지점에서 본점부담의 임차료 \300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이를 통지하다.

<본점의 분개>

(차)

임차료

300

(대)

지 점

300

<지점의 분개>

(차)

본 점

300

(대)

현 금

300

위에서 예시한 거래를 본점에서 지점계정과 지점에서 본점계정에 기장하면 다음과 같다.

[ 본점에서 지점계정의 기장 ]

[ 지점에서 본점계정의 기장 ]

지 점 계 정

본 점 계 정

(차변)

(대변)

(차변)

(대변)

36,000

10,000

800

1,200

400

600

잔액

2,000

300

46,700

잔액

2,000

300

46,700

36,000

10,000

800

1,200

400

600

49,000

49,000

49,000

49,000

[주]:

대조해서 볼 수 있도록 약식으로 기장을 예시했음. 이 절에서는 아래에서도 같다.

위의 기장을 보면 본지점 거래에서는 본점에서의 지점계정과 지점에서의 본점계정에 똑같은 금액이 기장되어 잔액이 같게 되기 마련이다. 다만 차변과 대변에 반대의 변으로 기장되므로 본점에서 지점계정이 차변잔액이면 지점에서 본점계정이 대변 잔액이 되고 본점에서 지점계정이 대변 잔액이면 지점에서 본점계정이 차변잔액이 되나 이들 잔액은 항상 같은 금액이 된다. 내부대차거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시에서는 하나의 지점이 있는 경우의 기장을 예시했으나, 여러 개의 지점이 있을 때도 같다. 다만 여러 개의 지점이 있을 때는 본점에서 여러 개의 지점계정을 설정하여 이같이 회계한다. 그리고 지점의 수가 많을 때는 지점계정을 통제계정으로 하고 보조부에서 지점별 계좌를 설치하여 처리한다. 이 경우는 통제계정인 지점계정의 잔액과 각 지점의 본점계정잔액을 집계한 금액이 같게 된다.

(2) 지점간 거래의 회계

둘 이상의 지점이 있는 기업에서는 지점과 지점사이에 이루어 지는 거래로 인하여 지점 상호간에 채권·채무관계가 이루어진다. 이 때의 회계방법은 다음과 같이 분산계산법과 본점집중계산법이 있다.

(가) 분산계산법

지점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거래에 의한 채권·채무를 각 상대방 지점의 이름을 붙인 지점계정을 설정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다만 거래하는 지점의 수가 많을 때는 지점계정을 통제계정으로 하고 보조부에서 지점별 계좌를 설치하여 처리한다.

~ 거래의 예시 ~

① A지점에서 B지점에 현금 \4,000을 송금하고 이를 통지했으며 B지점은 받았다는 답보를 했다.

<A지점의 분개>

(차)

B지점

4,000

(대)

현 금

4,000

<B지점의 분개>

(차)

현 금

4,000

(대)

A지점

4,000

② B지점에서 A지점에 상품 \10,000을 발송하고 이를 통지했으며, A지점은 인수했다는 답보를 했다.

<A지점의 분개>

(차)

매 입

10,000

(대)

B지점

10,000

<B지점의 분개>

(차)

A지점

10,000

(대)

매 입

10,000

③ A지점에서 B지점의 외상매입금 \6,000을 수표로 지급하고 이를 통지했으며 B지점은 이 통지를 받고 답보했다.

<A지점의 분개>

(차)

B지점

6,000

(대)

당좌예금

6,000

<B지점의 분개>

(차)

외상매입금

6,000

(대)

A지점

6,000

④ B지점에서 A지점 직원의 여비 \100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이를 통지했으며 A지점은 이 통지를 받고 답보했다.

<A지점의 분개>

(차)

여비교통비

100

(대)

B지점

100

<B지점의 분개>

(차)

A지점

100

(대)

현 금

100

위의 거래를 양 지점에서 각기 기장하면 다음과 같다.

[ A지점의 기장 ]

[ B지점의 기장 ]

B 지 점 계 정

A 지 점 계 정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잔액

4,000

6,000

100

10,000

100

10,000

100

잔액

4,000

6,000

100

10,100

10,100

10,100

10,100

위의 기장을 보면 A지점에서의 B지점계정과 B지점에서의 A지점계정에 똑같은 금액이 기장되어 있으면서 단지 서로 반대변에 기장되어 있다. 따라서 두 지점의 재무제표를 합병하면 두 지점계정의 차변잔액과 대변잔액이 일치하여 상쇄된다. 거래하는 지점의 수가 더 많고 더 많은 지점간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해도 지점의 재무제표를 합병하면 지점계정의 차변잔액과 대변잔액을 집계한 금액은 일치하며 상쇄된다. 내부대차거래이기 때문이다.

(나) 본점집중계산법

지점간에 거래가 발생했을 때도 각 지점은 본점과 거래가 있는 것으로 보아 기장하면서 이 내용을 본점에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때 본점에서는 지점간의 거래에 대한 통지를 받으면 두 지점계정만을 대체처리한다.

통지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본점집중계산제도가 아닌 분산계산제도에서는 지점간의 거래에 본점이 개입하지 않으므로 지점상호간에만 통지하면 된다. 그러나 본점집중제에서는 지점상호간에도 통지를 하되 본점에도 통지를 해야한다. 이때 거래를 발생시킨 지점에서만 본점에 통지하는 것을 "단통지"라 하며 거래를 받은 지점에서도 거래를 일으킨 지점에 답보를 하면서 동시에 본점에도 답보를 발송하는 것을 "복통지"라 한다. 복통지를 하면 본점은 거래를 발생시킨 지점과 거래를 받은 지점의 양쪽으로부터의 통지를 대사하여 지점계정을 대체함으로써 단통지의 경우 보다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따라서 집중계산법에 의할 때는 각 지점은 상대방 지점명을 붙인 각 지점별 계정을 설정할 필요가 없이 본점계정만을 설정하면 된다. 그러나 본점에서는 각 지점별계정을 설정하여 회계하며 지점의 수가 많을 때는 지점계정을 통제계정으로 하고 보조부에서 지점별 계좌를 설치하여 처리한다.

~ 거래의 예시 ~

① A지점에서 B지점에 현금 \4,000을 송금하고 이를 B지점과 본점에 통지했으며 B지점에서는 A지점에 받았다는 답보와 함께 본점에 이를 통지했다.

<본점의 분개>

(차)

A지점

4,000

(대)

B지점

4,000

<A지점의 분개>

(차)

본 점

4,000

(대)

현 금

4,000

<B지점의 분개>

(차)

현 금

4,000

(대)

본 점

4,000

② B지점에서 A지점에 상품 \10,000을 발송하고 이를 A지점과 본점에 통지했으며 A지점에서는 B지점에 받았다는 답보와 함께 본점에 이를 통지했다.

<본점의 분개>

(차)

B지점

10,000

(대)

A지점

10,000

<A지점의 분개>

(차)

매 입

10,000

(대)

본 점

10,000

<B지점의 분개>

(차)

본 점

10,000

(대)

매 입

10,000

③ A지점에서는 B지점의 외상매입금 \6,000을 수표로 지급하고 이를 B지점과 본점에 통보했으며 B지점에서는 A지점에 받았다는 답보와 함께 본점에 이를 통지했다.

<본점의 분개>

(차)

A지점

6,000

(대)

B지점

6,000

<A지점의 분개>

(차)

본 점

6,000

(대)

당좌예금

6,000

<B지점의 분개>

(차)

외상매입금

6,000

(대)

본 점

6,000

④ B지점에서 A지점 직원의 여비 \100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이를 A지점과 본점에 통지했으며 A지점에서는 B지점에 답보와 함께 본점에 이를 통지했다.

<본점의 분개>

(차)

B지점

100

(대)

A지점

100

<A지점의 분개>

(차)

여비교통비

100

(대)

본 점

100

<B지점의 분개>

(차)

본 점

100

(대)

현 금

100

위의 거래를 본점과 지점에서 각기 기장하면 다음과 같다.

[ 본점에서 지점계정의 기장 ]

A 지 점 계 정

B 지 점 계 정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잔액

4,000

6,000

100

10,000

100

10,000

100

잔액

4,000

6,000

100

10,100

10,100

10,100

10,100

[ A지점에서 본점계정의 기장 ]

[ B지점에서 본점계정의 기장 ]

본 점 계 정

본 점 계 정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잔액

4,000

6,000

100

10,000

100

10,000

100

잔액

4,000

6,000

100

10,100

10,100

10,100

10,100

예시한 거래는 분산계산법에서 예시한 거래와 같은 거래를 본점집중계산법에 의하고자 복통지하는 예시를 했다. 그러므로 기장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다.

첫째, ①분산계산법에서 A지점에서 B지점계정을 기장한 내용과 같은 기장을 A지점에서 본점계정에 기장했고 ②분산계산법에서 B지점에서 A지점계정을 기장한 내용과 같은 기장을 B지점에서 본점계정에 기장했다. 이것은 본점집중계산을 위해 각 지점에서 상대지점계정 대신에 본점계정으로 기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지점의 재무제표를 합병하면 본점계정의 차변잔액과 대변잔액이 일치하여 상쇄된다. 내부대차이기 때문이다.

둘째, 본점의 A지점계정에는 A지점에서 본점계정에 기장한 내용과 같은 기장을 했고 본점의 B지점계정에는 B지점에서 본점계정에 기장한 내용과 같은 기장을 했다. 따라서 지점계정을 합산하면 잔액이 없게 된다.

본점에서 지점계정을 통제계정으로 하고 보조부에서 지점별 계좌를 설치하여 회계할 때의 통제계정인 지점계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점에서 지점계정의 기장 ]

지 점 계 정

(차변)

(대변)

4,000

10,000

6,000

100

4,000

10,000

6,000

100

20,100

20,100

즉 이 때는 잔액이 없다. 왜냐하면 예시한 거래에서는 본점과 지점과의 거래는 없기 때문이다(본점과 지점간의 거래가 있었다면 위에서 설명한 본점과 지점과의 거래에서와 같이 본점에서 지점계정의 잔액이 있으면서 같은 금액이 지점에서의 본점계정잔액에 있게 된다.) 이같이 통제계정을 설정하여 기장할 때는 보조부에서 지점별 계좌를 설치하여 계산한다. 이때 지점별 계좌에 기장하는 내용은 역시 본점에서 지점별 계정을 설정하여 기장하는 내용과 같다. 따라서 이때도 지점간의 거래만 있을 때는 계좌별 잔액을 합산하면 잔액은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점과 지점과의 거래는 있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이때는 각 지점별로 계정을 설정하면 지점별로 잔액이 있게 되고 지점계정을 통제계정으로 해도 잔액이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잔액은 각 지점의 본점계정잔액을 집계한 금액과 항상 같으면서 서로 반대의 변이 된다.

그리고 집중계산법에 의해 지점간의 거래를 본점에서 기장하는 것은 신속하게 각 지점계정의 잔액을 파악하여 지점별로 자금의 이동을 관리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3) 결산을 위한 본지점계정의 정리

본지점거래(본점과 지점간의 거래와 지점간의 거래)가 있을 때 결산을 위해서 각 점에서 정리할 사항은 다름이 아니라 결산시점까지 발생한 거래에 관한 통지가 수수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통지가 수수되지 않았으면 결산시점까지의 거래를 어느 한쪽에서는 기장했으나, 어느 한쪽에서는 기장하지 못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는 본점집중계산법의 경우 본점에서의 각 지점계정잔액과 각 지점의 본점계정잔액이 같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결산을 위해서는 결산일까지의 일정기간에 통지 및 답보한 내용을 기재한 명세서를 신속히 교부하여 기장의 누락여부를 확인하되 본점에서는 각 지점의 본점계정잔액 및 누계액을 알아보고 각 지점에서는 본점의 자기 지점계정잔액 및 누계액을 알아서 장부상의 잔액과 일치하는지 대사한다.

그리고 그 이외에 결산을 위한 정리는 본점과 지점에서 각기 실시한다.

2. 본지점 재무제표의 합병

지점이 독립적으로 회계를 하고 있다 해도 하나의 기업이므로 기업전체의 제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 좀더 설명하면 하나의 기업체 내에서 본점과 지점마다의 독자적인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은 기업의 내부에서 점별로 업적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자료로서는 유용하게 활용되나 대외적으로는 기업전체를 통합한 하나의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

본점과 지점에서 각기 작성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합병하는 밥업은 각 계정별 금액을 합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는 내부대차에 의한 본지점계정은 제거하고 합산해야 한다. 즉 본점에서의 지점계정과 지점에서의 본점계정을 제거해야 한다. 제거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점에서의 지점계정잔액이 차변잔액이면 각 지점의 본점계정잔액의 집계액은 그 반대인 대변잔액이 되면서 그 금액이 같기 마련이다. (그 반대의 현상에서도 같다) 따라서 서로 상쇄하면 된다.

그리고 손익이 결정되면 각 지점에서의 손익은 본점에 대체한다.

[주]:

본지점 재무제표의 합병을 해설하면서 미달사항의 정리와 미실현이익의 제거를 해설한 경우가 있었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 약간의 설명을 한다.첫째, 미달사항의 정리본지점 재무제표의 합병을 해설하면서 해설한 미달사항의 정리란 결산일 전에 본지점간 또는 지점간에 이루어진 거래를 어느 일방에서는 기장했으나 어느 쪽에서는 통지의 미달 등으로 기장하지 못한 것이 있을 때 이를 본지점 합병재무제표의 작성시에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실제 본지점거래가 많은 경우 "본지점거래 대사업무"를 계속 실시하며 또한 점별 결산을 하는 기간도 있고 통신시설도 발달했으므로 본지점 합병재무제표의 작성을 위해점별 재부제표를 제출할 때는 본점에서 지점계정과 지점에서의 본점계정을 대사하여 확인하고서 제출토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미달사항을 본지점 합병재무제표의 작성시에 정리하는 사항으로서 해설하지 않는다(제1항의 (3)에서 해설한 사항 참조)둘째, 미실현이익의 제거본지점 재무제표의 합병을 해설하면서 해설한 미실현이익의 제거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본지점간에 상품등을 주고 받으면서 원가에 의하지 않고 일정율의 이익을 가산한 가액으로 주고 받은 경우에 이 상품이 외부에 판매되지 않고 결산시까지 있을 때는 기업전체적인 입장에서 보아 미실현이익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지점 재무제표의 합병을 해설하면서 이같은 미실현이익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실제 실무에서 본점과 지점 또는 지점과 지점간에 상품등을 주고 받으면서 일정율의 이익을 가산한 가액으로 주고 받기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므로 이같은 해설도 여기서는 하지 않는다.

~ 거래의 예시 ~

본점과 지점의 대차대조표와 손이계산서는 다음과 같다. 이 자료로서 ①본지점합병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절차와 ②지점의 손익을 본점계정에 대체하는 분개 및 ③외부에 보고할 재무제표(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의 작성을 예시하면 아래와 같다.

[ 자 료 ]

(본점) 대차대조표

(단위:원)

과 목

금 액

과 목

금 액

현 금

외상매출금

상 품

건 물

비 품

지 점

340

260

600

2,800

240

660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자 본 금

당기순이익

500

800

3,000

600

4,900

4,900

(지점) 대차대조표

(단위:원)

과 목

금 액

과 목

금 액

현 금

외상매출금

상 품

건 물

비 품

160

100

566

700

140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본 점

당기순이익

516

300

660

190

1,666

1,666

(본점) 손익계산서

(단위:원)

과 목

금 액

과 목

금 액

기초상품재고액

당기매입액

(매출총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이자비용

당기순이익

1,000

4,980

(1,020)

340

80

600

매 출 액

기말상품재고액

6,400

600

7,000

7,000

(지점) 손익계산서

(단위:원)

과 목

금 액

과 목

금 액

기초상품재고액

당기매입액

(매출총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이자비용

당기순이익

500

4,396

(430)

200

40

190

매 출 액

기말상품재고액

4,760

566

5,326

5,326

[ 합병재무제표의 작성절차 ]

(본지점합병) 대차대조표

(단위:원)

과 목

본 점

지 점

합 계

과 목

본 점

지 점

합 계

현 금

외상매출금

상 품

건 물

비 품

340

260

600

2,800

240

160

100

566

700

140

500

360

1,166

3,500

380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자본금

당기순이익

500

800

3,000

600

516

300

190

1,016

1,100

3,000

790

4,240

1,666

5,906

4,900

1,006

5,906

☞※

☞※※

※ 지점계정의 차변잔액 \660을 제외한 합계액.

※※ 본점계정의 대변잔액 \660을 제외한 합계액.

즉, 본점에서 지점계정의 차변잔액과 지점에서 본점계정의 대변잔액은 같은 금액이므로

제거했음

(본지점합병) 손익계산서

(단위:원)

과 목

본 점

지 점

합 계

과 목

본 점

지 점

합 계

기초상품재고액

당기매입액

(매출총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이자비용

당기순이익

1,000

4,980

(1,020)

340

80

600

500

4,396

(430)

200

40

190

1,500

9,376

(1,450)

540

120

790

매 출 액

기말상품재고액

6,400

600

4,760

566

11,160

1,166

7,000

5,326

12,326

7,000

5,326

12,326

[ 지점손익의 본점계정에 대체 ]

각 지점에서는 결산의 결과 손익이 결정되면 이를 본점에 대체한다 했다. 자료에서는 결산의 결과 지점의 당기순이익이 \190 계산되었기에 이를 본점에 대체하다

<본점의 분개>

(차)

지 점

190

(대)

당기순익

190

[주]:

주식회사 등일 때는 대변이 처분전이익잉여금인 당기순이익

<지점의 분개>

(차)

당기순익

190

(대)

본 점

190

[ 외부보고용 재무제표의 작성 ]

위에서 예시한 본지점합병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는 작성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해 외부보고용을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회계기준의 별지서식에 의한 것은 아님)

대 차 대 조 표200××년 ×월×일현재

(단위:원)

과 목

금 액

과 목

금 액

현 금

외상매출금

상 품

건 물

비 품

500

360

1,166

3,500

380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본 점

당기순이익

1,016

1,100

3,000

790

5,906

5,906

손 익 계 산 서200××년 ×월×일부터 200××년 ×월×일까지

(단위:원)

과 목

금 액

매 출 액

매출원가

기초상품재고액

당기매입액

기말상품재고액

1,500

9,376

1,166

11,160

9,710

매출총이익

판매비와관리비

1,450

540

영업이익

영업외비용

910

120

당기순이익

790

출처 : 인생의반전
글쓴이 : 하늘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