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제동
뒷바퀴에만 제동이 걸리면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앞바퀴에만 제동이 걸리면 사람에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넘어지기가 쉽다
그래서 앞 뒤 바퀴 모두 같은 힘으로 제동을 거는 것이 제동의 기본이다
일반적으로는 양브레이크를 잡아당기되 우선 뒤 브레이크에 힘을주고 점차적으로 앞브레이크에 힘을 주어 제동을 한다
그리고 제동을 걸때 엉덩이를 뒤쪽으로 이동시켜서 몸에 중심을 뒤쪽에 두고 팔에 힘을 주어야 한다
그래야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수있다 그리고 줄어드는 속도에 맞추어 무게 중심도 조금씩 앞으로 옮겨 주고 긴장도 풀어주어야 한다
참고:보통 일반인 같은 경우는 제동 비율을 6:4 또는 7:3정도로 하지만 선수들은 8:2로 한다
2 빗속 제동
비가 오면 빗물뿐만 아니라 도로에 떠오르는 각종 먼지와 기름들에 의해 앏은 층이 형성 되는데 어것 때문에 도로가 미끄러워진다
특히 비가 오기 시작할때 아스팔트에서 묻어있던 기름들이 또올라 가장 미끄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와 림이 젖기 때문에 제동력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비가 올때는 속도를 줄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불필요한 동작은 삼가한다
참고:빗길에서는 제동을 한번에 길게 하는것 보단 짧지만 여러번 제동을 해준다
3 내리막길에서 제동
내리막길에서 사고가 가장많이 나는데 그 원인은 제어할수 없을 정도로 속도를 내는데 그 원인이 있다 과속하지 않도록 계속해서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아까도 앞에서 설명한 엉덩이를 안장 뒤로 빼주는것이 가장 중요하며 내리막의 각도에 따라 엉덩이를 살짝또는 완전히 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내리막에서 속도를 받은 상태인데 커브를 만났을때는 진입전에 제동을 하고 커브중에는 제동을 하지않는다
내리막은 자신감이 가장 중요하며 만약 자신이 겁을 먹었다면 누가 뭐라해도 자전거에서 내려야한다 가장 중요한것은 자신의 몸이다
4 급제동과 위기대처-1
자전거를 타다보면 갑작스런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이럴때 필요한 것이 급제동 이다 우선 물체와 어느 정도 거리가 있다면 있는 힘을 다해 제동을 한다
이렇게 하면 양 바퀴가 잠겨서 미끄러지는데 미끄러지는 순간에 레버를 살짝 풀어준다음 다시 강하게 제동을 거는 것이 기술이다
갑작스런 상황에서 이런 일을 하기는 힘들겠지만 연습을 많이 하면 무의식 중에 해낼수 있다
5 급제동과 위기대처-2
만약에 어쩔수없이 충돌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정면으로 박는것 보단 미끄러지듯 넘어지는게 덜다친다
예를들어 내리막길에서 신나게 내려가는데 앞차가 갑자기 멈추는 경우 순간 아무리 속도를 줄인다해도 서로 다칠게 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미끄러지는 것이 덜다친다
미끄러지는 기술은 뒷바퀴에 강한 제동을 걸면서 몸을 기울임과 동시에 핸들도 넘어지려는 방향으로 튼다
이때 만약 왼쪽이라면 페달은 위로 올라 있어야 쉽게 미끄러질수 있으며 팔과 무릎은 자전거에 붙이고 있어야 페달과 핸들바가 충격을 흡수할수있다
'상식 >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펌- 자전거 구입요령 (0) | 2015.03.18 |
---|---|
[스크랩] 휠 변형에 대하여 (0) | 2015.03.10 |
[스크랩] 기어변속의 이해-2 (0) | 2015.03.10 |
[스크랩] 기어변속의 이해-1 (0) | 2015.03.10 |
[스크랩] 각 부품의 점검에 대하여.... (0) | 201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