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구입에 관해 질문을 많이 하셔서 정리해 봅니다.
여지껏 귀차니즘(? ^^;)에 하지 않았던 것인데, 신년에 한번 해놓으면 좋겠다 싶네요.
먼저, 일반적인 고려사항을 순차적으로 적고 세부적인 용례 등을 적을 테니 읽는데 참고 하세요.
1. 자전거의 용도를 생각하라.
2. 경제적 능력을 고려하고, 너무 저렴한 잔차와 너무 비싼 잔차는 선택에서 제외하라.
3. 자기 신체에 맞는 자전거 사이즈를 알아보고 선택하라.
4. 검색을 통해 자전거 관련 정보(브랜드별 취급점 등)를 수집하라.
5. 구매는 되도록 오프라인에서(집에서 가까운 매장) 하라.
cf) 자신에게 맞는 동호회를 찾아보라. ^^
1-1 용도에 관해
자전거도 여러 종류가 있다. MTB, Road Cycle, Hybrid, Mini velo, Folding bike, Recumbunt 등이 대표적.(bmx, 외발자전거 등은 제외)
MTB와 Road cycle은 스포츠 수준이고, 하이브리드, 미니벨로, 폴딩은 레저용이라고 보면 된다. 내가 어떤 취향인지 그리고 어떤 조건을 가지는지에 따라 선택하라. 최근 급격하게 자전거 인구가 늘면서 일부 잔차가게에서 초보자에게도 고가의 MTB를 추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말에 현혹되지 말길 바란다. 동호회에 가려면 이정도 잔차는 타야 한다고 또는 나중에 산에도 갈때를 생각해서 등... 내가 시내 주행을 주로 한다면 하이브리드나 미니벨로 등이 좋고, 차량에 싣거나지하철 등 연계 교통을 원한다면 접이식도 좋다, 순수 운동을 위하여 또는 좀더 깊게 잔차를 배우길 원한다면 MTB, Road Cycle을 타면 된다. 다음은 각 자전거 종류별 상세 설명.
MTB - 이름 그대로 산악용 자전거. 우리나라에선 도로사정이 좋지 않고 언덕이 많아 도로에서도 많은 분들이 산악용 자전거를 타지만, 원래는 산에서 즐기는 익스트림 스포츠용이다. 26인치의 휠에 광폭 타이어와 서스펜션, 강한 제동이 가능한 브레이크가 있어서 산에서 안정감 있게 주행이 가능하다. 반면, 도로에서는 바람 저항과 서스펜션의 동력 흡수로 인해 도로 싸이클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이 많이 떨어진다.
세부적으론 XC 하드테일 , XC 풀서스펜션, 올마운틴, 프리라이드,다운힐 등으로 나뉜다. 산악 초보자의 경우는 XC하드테일 기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뒤에 언급하는 잔차들 일수록 험한 지형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들로서 하드테일로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하고 나중에 험한 지형을 가는 것이다. 그리고 가격적인 면에서도 뒤로 갈수록 비싸다.
Deore 와 X4 등급부터 본격적 입문 산악용 부품으로 3*9 = 27단의 변속비를 가지며 알리비오와 아세라는 24단.
하드테일(hard tail) - 앞에만 서스펜션 80~100mm 이 있고. 주로 크로스컨트리용(임도, 험하지 않은 싱글용)이다. 기술을 습득하게 되면 올마운틴(보다 험한 산악지형) 용도까지 커버할 수 있다. MTB 중 동력전달이 비교적 좋고 내구성이 좋은데다 구조가 간단해서 전국일주 등 장거리 도로 여행에도 호환 사용이 된다.
여행용(touring) ^^ - 전문 여행용 자전거도 있지만 문제는 우리나라에 수입이 잘 안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장기간 전국일주나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하드테일 MTB나 하이브리드를 추천한다. 물론 . 어떻게 세팅을 하느냐에 따라서 다른 자전거 종류도 가능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동력전달이 좋고(풀샥에 비해) 많은 짐을 실어도 든든한 내구성이 있기 때문에 MTB나 하이브리드가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고장시 정비가 편하고 부품수급도 비교적 쉬운 편이다. 사이클은 라이딩 자세가 상대적으로 불편해서 숙련된 사람이 아니라면 허리 통증이 올 수 있고 심한 피로감을 느낀다. 세팅은 뒤에 짐을 실을 수 있는 랙(짐받이)를 장착하고 타이어는 1.5 정도의 슬릭이나 세미 슬릭타이어가 적당하다.
XC 풀 서스펜션(xc ful-suspension) - 용도는 하드테일과 비슷하고 앞, 뒤 모두 100~ 120mm 의 완충장치가 있어서 산악에서 장시간 라이딩(5~10시간 이상)을 한다면 하드테일 보다 피로감이 휠씬 적다. 가격이 두배 이상인(최하 200만원, 더 비싼 하드테일도 많다 ^^; ) 것이 문제이고 고바위 업힐 등에서는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올마운틴(all mountain) - 앞, 뒤 모두(이하 동일)120~ 140mm 완충장치로 이름 처럼 거의 모든 산악 지형을 탈 수 있다. 이 기종부터는 도로 업힐에선 힘 마이 든다. ㅋㅋㅋ 하지만 산악에선 험한 돌밭이나 낙차 큰 지형도 내려올 수 있으며 충분한 재미를 선사한다.
프리라이드(free ride) - 140~ 160mm 의 완충장치로 듀얼슬라롬 등의 경기에 주로 쓰인다. 최근엔 사용자가 많지 않다.
다운힐(down hill) - 180~ 200mm 의 완충장치를 가지며 오직 산악에서의 다운힐만을 위해 태어난 잔차다. 당연히 업힐은 끌바(끌고), 멜바(메고) 만이 가능하다. ㅋㅋㅋ 하지만 저런 곳을 어떻게 잔차로 내려와 하고 생각하는 곳을 내려올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숙련된 라이더 만이 가능하다 ㅋㅋㅋ)
가격대 : 60만원 ~ 1200만원 선
트랙은, 미국의 삼천리 같은 브랜드 였지만 산악자전거의 원조 게리피셔를 합병하였고 랜스 암스트롱이 뚜르드 프랑스에서 트랙사이클을 타고 우승하는 바람에 일약 자전거계의 스타가 되었다.
trek, scott, specialized, santacruz,marida,elfama 등이 최근 인기가 좋다. 하지만 명차가 하도 많아서...ㅋㅋㅋ 나열이 힘들고 엘파마의 extreme 시리즈, 스콧의 스케일 70, 등이 가격대 성능비가 좋다.
cf) 변속,구동, 브레이크 계열 부품 등급 :
(최상) XTR> Saint> XT> Hone>SLX> LX> DEORE> Alivio>Acera >Nexus>Tourney 일본 Shimano 사 등급
X0 > X9> X7> X5> X4> 3.0 의 Sram 사 등급이 있다. 스램은 올 연말 MTB용 2*10단 콤퍼넌트인 XXX(트리플 X)를 출시했으며 향후 기술 표준이 될 전망이다.
세트 기준으로 최저 10만원에서 최고 200만원 까지 하며. 특히나 시마노사의 부품은 전 세계 MTB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며, 가격대 성능비가 좋고, 신뢰성 높은 부품을 생산한다. 아래서 부터 세 등급은, 이하 다른 생활용 및 일반자전거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모든 부품들(변속레버 , 브레이크레버, 변속기, 브레이크, 크랭크, 스프라켓, 케이블, 휠의 허브)에 시마노사의 로고가 있다면 일단 신뢰할 수 있으며 적절한 기능을 할 수있는 자전거라고 보면 된다.
이 외에 브레이크, 휠세트, 크랭크, 스템, 페달 등의 부품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회사들도 많이 있다. Avid, Mavic, Race Face, Tohmson, Crank Brothers 등이 대표적. 이런 회사들의 제품은 각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전문화된 만큼 품질도 우수하여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켜 준다.
포크(앞 충격 완충장치)와 리어샥(뒤의 충격 완충장치)은 FOX, ROCK SHOCK, Marzorchi, Manito 등이 대표적이며 회사마다 다양한 가격대와 용도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중저가 브랜드로 좋은 회사는 SR sun tour가 있고
RST는 성능이 그다지 좋지 못하다.
Road Cycle - 뚜르드프랑스 7연패의 랜스암스트롱이 타는 자전거로 뿔모양의 핸들바가 특징. 27인치의 휠과 얇은 타이어, 좁은 드롭핸들바가 달려있기 때문에 자세가 앞으로 숙여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공기저항이 최소화되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빠른 속도감을 원하다면 이 잔차를 선택하라. 하지만 산엔 전혀 갈 수 없다는 거... ^^; 하루 200km 정도는 거뜬하며 체력에 따라 다르지만 5~6시간 정도면 주파가 가능하다. (서울-대전 반나절) 가능한 이유는 크랭크와 스프라켓의 기어비가 산악용과는 완전히 다르게 고속용으로 세팅되어 있고 휠이 1인치 커서 같이 크랭크를 한번 돌려도 나가는 거리와 속도가 현격히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Sora는 9단이고(2*9 = 18단) Tiagra 부터가 10단 호환이 되는 총 20단의 변속비를 갖는다. 20단의 기어비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완성차로 봤을 때 가격이 최소 150만원은 넘어야 하기 때문에 입문용으로 소라급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가격 : 90만원~ 1500만원 선
주로 수공품이 많으며 이태리와 유럽이 강세. Colnago, look, bianchi, bmc 등이 명차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선 유일하게 대구의 young cycle 이 주문 수공제작으로 출시하고 있다. 경륜 선수들이나 도로사이클 마니아들 에겐 많이 알려져 있고 제품역시 뛰어나다. http://www.youngcycle.com/
국내 브랜드인 ELFAMA 의 Epoca(90만~) , Estella(150만~) 시리즈(완성차)가 입문용으로 추천할 만 하다.
cf) 변속 구동계열 부품등급 :
Super Record> Record> Chorus> Centaur> Veloce 이태리 Campagnolo사의 부품 등급
- 사이클계에선 캄파 사가 선두 주자이고 클래식한 디자인과 약간은 타이트한 변속레버감으로 인기를 얻음
Dura Ace> Ultegra> 105> Tiagra> Sora 의 시마노 등급
- 후발주자지만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거의 대등하게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Red> Force> Rival 의 스램 등급
- 3년 전부터 도로용을 생산하고 있으며 mtb도 약 6년 전부터 생산함. 완성차에 들어가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
사용 자들은 아직 많지 않음.
Hybrid - 산악용과 도로용을 반씩 섞어 놓았다고 보면 된다. 위의 두 가전거가 스포츠용이라면 이 잔차는 통학, 출근, 생활용 이라고 보면 된다. 그만큼 실용성이 뛰어나다는 말도 되지만 어찌 보면 둘 다 아닌 자전거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
바퀴는 27인치 휠을 사용하지만 타이어는 사이클 보다는 굵고, 브레이크는 산악용, 앞에만 짧은(50mm) 서스펜션이 있어서 자잘한 충격도 흡수 가능한 자전거다.
우리 상표의 Alton에서 나오는 rct시리즈가 대표적이고 해외상표는 Kona가 좋다.
가격: 약 30만원 ~ 200만원 선
Mini velo - "velo" 란 말 자체가 불어로 자전거란 뜻. 즉 작은 자전거를 통칭하는 말로 휠 규격이 16, 18, 20 인치의 작은 휠을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작고 낮은 차체를 가지고 있다. 요즘은 접는 형태로 되어있는 것이 많이 나오지만 전부가 폴딩은 아닙니다. 사이즈가 작은 만큼 휴대가 용이하고 시내나 산책 등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다니는데 좋다. 장거리가 크게 어렵진 않지만 큰 휠사이즈의 잔차를 따라가기 힘들고. 최근엔 구동부에 도로사이클용 부품을 탑재해 빠르게 갈 수 있게 나오는 것도 있지만 가격도 비싸고 이도 저도 아니라서 추천하는 바는 아니다.
Strida, Dahon, KHS, Brompton, Vito 이중 비토는 비교적 저렴한 (오프 30만원)가격에 디자인도 좋아 인기 있는 모델이다.
가격 : 30만원 ~ 200만원 선
Folding bike - 이름처럼 접을 수 있는 자전거. 큰 사이즈의 잔차에서 미니벨로까지 다양하게 접는 자전거가 나오고 장점 이라면 버스나 지하철등에 가지고 탈 수 있다는 점이다. 휴대가 간편하게 상당히 실용적이게 개발된 것이나 우리나라 상표로(삼천리, 넥스트, 알톤 등) 판매되는 제품들은 우선 무겁고 안전성이 떨어지는 것들이 많아서 웬만하면 추천하지 않는다. 외국 상표로는 Hummer가 있는데 미군용으로 납품할 정도로 튼튼함과 성능을 자랑한다 . Dahon은 폴딩바이크의 선구자로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으며 khs가 뒤를 잇고 Strida는 독특한 접이 방식을 개발해 휴대성과 디자인 모두 만족 시켜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높다. 하지만 변속장치가 없기 때문에 언덕은 쥐약. ㅋㅋㅋ
가격(국내 상품제외) : 40만원~ 200만원 선
Recumbent - 특이하게 누워서 타는 형태의 자전거. 타고 내릴 때 불안정 하지만 일단 타기만 하면 도로사이클 보다 빠르게 mtb만큼 편안하게 달릴 수 있다. 하지만 차체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시인성이 떨어져 위험하고 누워서 타다 보니 한계령 같은 고바위는 포기해야 한다. 즉, 우리나라같이 꼬불한 언덕이 많은 지형에선 적당하지 않다. 내가 특이한 것을 좋아한다거나 평지에서만 달릴 계획이라면 한번쯤 시도해볼만 하다.
리컴번트 자체가 상표로, 누워서 타는 자전거의 대명사다.
가격 : 150만원 ~ 600만원 선
2-2 잔차의 가격과 제품 질에 관해
위에서 말한 것처럼, 구동계 부품을 시마노사의 것을 사용하여 일정한 성능을 유지하려 한다면 내 생각에 레져용 잔차들(하이브리드, 미니벨로, 폴딩 등)의 경우는 최저 30만원~35만원 정도는 되어야 한다. 이정도 되면 전부는 시마노 부품이 아닐 지라도 프레임도 알루미늄이고 휠도 QR(quick release) 레버로 되어 있어서 정비와 휴대가 상당히 편하다. 처음에 너무 싼 자전거를 사면, 1년 정도 지나서 녹이 슬거나 부품 망실에 의해 급격히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생기며 수리비용이 더 들어가서 비경제적인 경우가 생긴다.
MTB의 경우 가격과 자전거 성능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일정 수준까지(200만원 까지-한계 설정은 개인적 생각)는 거의 비례한다. 그렇다고 해서 비싼 잔차를 고르라는 것은 아니다. 한번 더 말하지만 용도에 맞게 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산악자전거를 배워 보려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면 200~300만원대의 고급 MTB를 탈 이유가 없다. 평이한 도로를 다니는데 굳이 고가의 MTB를 탈 이유가 없으며 적당한 가격과 성능의 레져용 잔차를 구입해서 타다가 잔차에 더 재미가 붙어서 산에도 가보고 싶고 하다면 그때 산악 자전거를 구입해도 늦지 않다. 다만, 너무 저렴하여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피하라는 취지에서 저렴한 것을 피하란 말이다. 옛 말에 싼게 비지떡이라지 않았나! ^^
MTB는 입문 등급으로 풀 DEORE 면 최소 70만원 정도는 생각해야 하고, 도로사이클은 SORA급(시마노 기준)으로 90만원은 생각해야 한다. 산악과 도로에서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확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다른 것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짧은 분량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일 수 있으니 유념하길 바란다.
3-3 신장과 자전거 사이즈에 관해
자전거도 자기 신장에 맞게 골라 타야 한다. 자전거 사이즈는 프레임에(본체)에 표기 되어 있는데 산악용은 인치(inch)로 도로용은(cm)기준이다. 여성용 13,5 인치부터 남성용은 15,5 에서 최대 22인치까지 나온다. 그리고 사이클은 45cm(150cm) ~ 56cm(2m 이상) 정도 까지 나온다.
애석하게도 우리나라 상표의 하이브리드나, 미니벨로, 폴딩은 프레임사이즈(휠사이즈 아님)가 단 사이즈로 나온다. 보통은 16, 17인치(신장160 ~ 178cm 미만이 적당 ) 정도이고 크랭크암(페달이 연결된 길죽한 부분)의 길이도 170mm이나 165mm로 고정되어 나온다. 그래서 이 신장보다 크거나 작은 분들은 장시간 사용시 무릎, 허리 등의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가장 무릎과 허리에 좋은 운동이 자전거인데 이런 이유로 낭패를 보시는 분들도 계시니 자기에게 맞도록 자전거를 피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정말 운동을 위해서 장시간 타기를 원한다면 본인의 신체사이즈에 맞는 잔차를 골라 타라.
우리나라 상표의 산악용(Elfama, Cello)이나 도로 사이클은 모든 사이즈의 프레임이 생산된다. 산악용 자전거와 도로사이클 사이즈기준으로 신장을 표기해본다.
사이즈 기준은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고, 사람에 따라 신장이외에 팔길이, 골반크기, 등에 따라 사이즈 선택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일반사항으로 참고 하고, 선택은 매장에서 전문 미케닉에게 상담 받는 것이 좋다.
14인치(XS), 45cm : 155 cm 이하
15 (S), 46,47 : 155~ 160
16 (SM), 48~50 : 161~ 170
17 (M), 51~53 : 171~ 179
18 (L), 54 : 180~ 185
19 (XL), 55 : 186~ 190
20 (XXL), 56, 57 : 191~ 200
이 이상의 사이즈는 주문 생산 하고 19, 20인치도 우리나라에선 거의 없기 때문에 주문을 해야만 수입을 하거나 제작한다.
4-4 자전거 관련 정보는 시대에 맞게 웹사이트를 찾아보는 것이 가장 빠르게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구입은 매장에서 직접보고 물어보고 결정하는 것 잊지 말길... ^^ 영양가 많은 사이트를 소개한다.
산악자전거의 메카(전국구) - 와일드바이크 http://www.wildbike.co.kr
상단 링크에서 “최신정보/가이드란”을 클릭하면 온라인 쇼핑몰과 제조사 목록이 나온다. 메이저급 수입사와 판매점 들이 거의 나와 있고, 제조회사도 링크되어 있어 MTB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추천할 만한 사이트.
도로 사이클의 메카(전국구) - 도싸 http://corearoadbike.com//
출퇴근 자들의 안식처(전국구) - 자출사 http://cafe.naver.com/bikecity.cafe
자전거 여행자들의 모임 - 자여사 http://cafe.naver.com/biketravelers/
첫 미벨 동호회(2004년) - 스트라이다 http://cafe.naver.com/strida/
(미벨 동호회는 이밖에도 자전거의 기종에 따라 많이 세분화 되어 있다)
중고 자전거, 자전거용품 알뜰구매 (전국구) - 바셀 http://bikesell.co.kr/
( 라이더들이 자기 자전거와 부품 등을 직접 올리는 곳으로 새것에 비해 저렴한 자전거 구입할 수 있는 곳.
또한 용품 등의 알뜰구매는 정말 싸게 나오는 것들이 많이 있다. 주의사항은 중고 잔차의 경우는 상태를 꼭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 주변에 자전거를 잘 아는 사람이 없다면 구매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좋다.)
5-5 인터넷에서 판매되(auction, interpark 등의 매장이 없는)는 자전거는 가격이 오프라인보다 싸다. 이유는 조립과 정비에 공임이 책정되지 않기 때문. 30만원 하는 자전거가 인터넷에서는 25만원 정도 하는데 5만원 아끼는 것보다 지속적으로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집 근처의 전문점을 찾아서 구매하는 것이 휠씬 좋다. 즉, 처음에 자전거 정비기술을 하나도 모른다는 가정에서 조립도 하지 못하고 몸에 맞게 피팅도 못하며 크진 않아도 자전거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인터넷에서 산 자전거는 처치곤란이란 말이다. 그래서 동호회에 가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
그리고 되도록 이면 특별한 이상이 없어도 정기적으로 들러서 점검을 받고, 얼굴을 익혀두는 센스를 가진다면 더욱 좋다. ㅎㅎ
이상으로 제가 아는 한 꼭 필요한 것들을 적어보았습니다.
이외에도 보충할 것들이 있지만 그것은 개별적으로 나중에...... 힘듭니다
'상식 >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휠 변형에 대하여 (0) | 2015.03.10 |
---|---|
[스크랩] 브레이킹-2 (0) | 2015.03.10 |
[스크랩] 기어변속의 이해-2 (0) | 2015.03.10 |
[스크랩] 기어변속의 이해-1 (0) | 2015.03.10 |
[스크랩] 각 부품의 점검에 대하여.... (0) | 201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