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퀴 코너링에서 라이더의 체중은 바깥쪽이다.
실전 코너링의 예
일정 속도로 주행을 하고 있다. 자신이 공략하고자 하는 코너가 나오면 코너의 입구를 살핀다. 현재 자신의 속도와 코너의 구부러진 정도를 판단한다. 이때 시선처리가 중요하다. 앞서 이야기 했듯 시선이 가는 곳에 머리의 중심이 이동하고 중심의 이동은 선회로 이루어진다. 좌 코너를 예로 들자면 코너가 나오고 시선이 코너입구를 주시하며 충분히 안전한 속도로 감속이 이루어진다. 시선이 좌측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머리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바이크의 선회가 시작된다. 이때 상체도 왼쪽으로 기울여준다. 그럼 이때 바이크는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셀프스티어링이 작용하며 핸들이 필요한 만큼 꺾이게 된다. 핸들이 올려져 있는 팔은 브레이크를 조작할 정도의 힘만 있으면 된다. 코너에서 팔 힘으로 핸들을 제어하려고 하면 오히려 안정적이고 자연스럽게 선회할 수 있는 셀프스티어링을 방해하는 작용을 한다. 초보자들은 처음에 팔에 힘을 빼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기본적인 원리를 알고 있는 라이더라 면 점차 안정적으로 셀프스티어링에 의존할 것이며 팔에 힘이 빠질 것이다.
코너링은 머리로 시작한다
코너를 진입할 때 시선으로부터 머리중심을 이동해 선회가 이루어지면 몸을 안쪽으로 밀어 넣어 린인자세를 취해 선회력을 높인다. 그리고 바이크가 기울어지기 시작할 때 바깥쪽 페달에 힘을 주어 중심을 코너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물론 주변에 거치적거리는 요소가 많아 바깥쪽 페달을 밑으로 내린 상태로 주행할 수 없는 상황에는 린아웃으로 무릎 피봇팅을 이용해 라이더 신체를 좀 더 바이크와 밀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런 지형에서는 대부분 속도가 높은 고속 코너링으로 주행 할 일이 없다. 왼쪽 코너라면 힘을 오른쪽 페달에 주어 체중을 오른쪽에 싣는 것이다.
대부분의 라이더들이 시선처리와 린인, 아웃 정도는 알고 있지만 다리를 움직여 체중이동을 하는 부분은 잘 모르고 있다. 하지만 고급 라이딩을 위해서는 결국 다리로 바이크를 조종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대부분 오프로드에서는 체중은 바깥쪽 페달에 중심을 이동하고 상체는 린아웃을 하는 방식의 코너링이 널리 쓰인다. 하지만 오프로드 코너에서도 란인테크닉은 때에 따라 훌륭한 코너공략법이 될 수 있다.
그럼 왜 코너 바깥쪽 스텝에 체중을 몰아주는 것일까? 그 이유는 좀 더 안정적인 접지력 확보와 유사시 바퀴가 미끄러졌을 때 라이더가 바이크를 쉽게 컨트롤하기 위함이다. 간혹 어떤 라이더들은 코너에서 안쪽 발에 중심을 실어야 코너가 안정적이고 빨라진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타이어 컨파운드의 차이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잘못된 상식이다.
대부분 코너에서 체중이 바깥쪽 스텝에 실리는 것은 알고 있지만 언제부터 힘을 주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코너를 진입하기 전부터 바깥쪽 다리에 힘을 주고 있다면 코너진입에 방해요소가 된다. 따라서 체중을 이동하기 위해 바깥쪽 스텝에 힘을 싣는 것은 바이크가 4~5도 정도 기울어졌을 때부터 시작하면 된다.
코너 에서 몸의 중심은 왜 바깥쪽에 두어야 하나
그럼 바깥쪽 페달에 중심을 두는 것이 왜 안전한지, 미끄러졌을 때 왜 라이더가 컨트롤 하기 쉬운지 이야기해 보자. 이 부분은 글로 설명하기가 힘든 점이 있다. 최대 한 쉽게 설명하겠지만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반복해서 읽어 보시길.
코너에서 바이크는 속도와 코너의 구부러진 정도에 맞게 기울어지면서(뱅킹) 주행을 해야 하는 것이 정상이다. 더 기울어졌다거나 덜 기울어져 있어도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곧 자빠링(바퀴가 미끄러져 넘어지는)으로 이어진다.
코너를 주행하면서 바이크를 기울이면 원심력을 받는다. 또한 동시에 중력도 작용한다. 코너에서는 원심력과 중력의 복합적인 작용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타이어의 표면이 노면과 닿아 접지력을 유지하는 것은 중력 때문이다. 자전거의 무게와 라이더의 무게를 합산한 만큼의 중력이 작용해 타이어 표면이(트레드) 접지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코너 주행 중에 바이크는 원심력을 받아 밖으로 가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크를 적당히 눕혀서 코너를 주행한다. 라이더가 적극적으로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은 좀더 많은 접지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밖으로 나가려는 바이크를 바깥쪽(좌 코너면 오른발, 우 코너면 왼발) 발로 페달에 이동시키면, 비록 기울어져 있는 바이크라 해도 라이더의 체중이 위에서 타이어를 누르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심이동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접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바이크를 지나치게 기울여 뒷바퀴가 미끄러질 때도 페달에 밀착되어 있는 발의 감각으로 미리 미끄러지는 느낌을 전달 받을 수 있고, 미끄러지기 시작할 때도 급격히 미끄러지는 현상을 어느 정도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깊은 뱅킹에서 뒷바퀴가 미끄러졌는데 갑자기 “휙” 미끄러져 버렸다면 중심이동이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것이고 마치 드리프트하듯 미끄러진다면 중심이동이 정확했다고 할 수 있다. 바깥쪽에 정확히 중심을 이동하며 주행하던 라이더는 바퀴의 미끄러지는 정보를 전달받는 동시에 드리프트처럼 바퀴가 천천히 미끄러지기 때문에 넘어지기 전 컨트롤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중심을 바깥쪽에 두고 코너를 주행하는 것은 매우 복합적인 장점이 있는 중요한 테크닉이다. 반드시 연습을 통해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테크닉은 린위드나 인,아웃 모두 적용되는 테크닉이다.
'상식 >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전거그림... (0) | 2015.03.10 |
---|---|
[스크랩] 자전거 60계명 (0) | 2015.03.10 |
[스크랩] 페달링과 근육의 상관관계 (0) | 2015.03.10 |
[스크랩] 브레이킹 (0) | 2015.03.10 |
[스크랩] 평생 30대로 사는 법 (0) | 2015.03.10 |